“이제 전세대출 받기 더 힘들어진다”는 말, 그냥 소문이 아닙니다.
2025년 8월 28일부터 한국주택금융공사(HF)가 전세자금보증 심사를 강화하면서, 특히 빌라·다가구·원룸·오피스텔 같은 비아파트 시장에 큰 파장이 예상됩니다.
정부는 전세사기를 막기 위한 제도라고 설명하지만, 시장에서는 “선량한 세입자와 집주인도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126% 룰’이란 무엇인가?
새 기준의 핵심은 바로 공시가격 126% 룰입니다.
- 집에 이미 잡혀 있는 선순위 채권(근저당 등)과 전세보증금을 합친 금액이
- 해당 주택 공시가격의 126%를 넘으면 보증이 거절됩니다.
즉, 보증이 거절되면 은행에서 전세대출도 실행할 수 없게 됩니다.
과거에는 일정 금액(예: 보증금 2억 초과) 이상만 적용됐지만, 앞으로는 금액과 상관없이 모든 전세보증금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집주인, 세입자 어떤 영향이 있을까?
- 신규 세입자 유입 감소
전세대출이 안 되면 세입자는 계약을 포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공시가격이 시세보다 낮은 빌라·다가구 주택이 직격탄을 맞습니다. - 기존 세입자 보증금 반환 문제
신규 세입자가 줄면 집주인은 기존 세입자 보증금을 돌려주기 어려워집니다.
이른바 ‘역전세난’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시장 불안 심화
HUG에 이어 HF까지 보증 심사를 강화하면서, 비아파트 전세시장은 더 좁아지고 있습니다.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불안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왜 이런 제도가 필요했을까?
정부는 “깡통전세”와 전세사기를 막기 위해 이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공시가격 대비 과도한 전세보증금을 차단해, 세입자가 피해를 보는 일을 줄이겠다는 목적입니다.
하지만 일률적인 규제가 실제 시장에서는 선의의 피해자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논란입니다.
앞으로의 대비 방법까지 정리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
전세대출 공시가 126%룰, 빌라 다가구 오피스텔 집주인 파산하나
한국주택금융공사(HF)가 전세자금보증 심사를 강화하면서, 비아파트 전세시장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126% 룰 도입은 빌라·다가구·원룸 집주인과 세입자에데 타격이 될 수 있
ymiie.com
'정부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파산 조건, 절차, 신용회복까지 한눈에 (2025 최신) (0) | 2025.09.01 |
---|---|
강훈식 비서실장 프로필 (3) | 2025.08.31 |
상생페이백 어르신 오프라인 신청 방법 안내 (3) | 2025.08.27 |
사망보험금, 이제 55세부터 연금처럼 받을 수 있습니다! (0) | 2025.08.25 |
상생페이백 신청하면 최대 30만 원 환급! 9월부터 꼭 챙기세요 (0) | 202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