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도 많고, 일도 쉬었는데… 국민연금 미리 받을 수 없을까?”
가능합니다.
국민연금은 원래 만 65세부터 지급되지만,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조기수령(조기노령연금)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국민연금을 언제부터, 어떤 사람에게 조기지급되는지,
그리고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쉽게 알려드릴게요.
조기수령 가능한 사람은 누구?
▶ 기본 조건 3가지
구분 | 내용 |
1️⃣ 나이 | 만 60세 이상 ~ 만 64세 미만 |
2️⃣ 가입기간 | 국민연금 최소 10년 이상 납부 |
3️⃣ 현재 상태 | 일을 하지 않고 있는 경우 (소득 없거나 적은 경우) |
📌 쉽게 말해, 만 60세가 넘고, 국민연금 10년 이상 넣었고, 지금 소득이 없다면
국민연금을 조기 신청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조기수령 시 연금이 줄어든다?
네, 조기수령은 미리 받는 대신 월 수령액이 줄어드는 제도입니다.
- 1년 먼저 받을 때마다 6%씩 감액
- 최대 5년까지 앞당길 수 있음
- 즉, 최대 30%까지 줄어듦
예시 수령 | 나이 | 감액율 |
만 64세 | 1년 앞당김 | -6% |
만 63세 | 2년 앞당김 | -12% |
만 60세 | 5년 앞당김 | -30% |
📌 한 번 감액되면 평생 동일한 금액을 받게 됩니다.

❓ 소득이 있으면 받을 수 없나요?
아닙니다.
일정 수준 이하의 소득만 있으면 조기수령 가능합니다.
▶ 소득기준 (2025년 기준)
- 월 소득 243만 원 이하
→ 이 기준 이하라면 조기노령연금 수급 가능
🔗 국민연금공단 공식 사이트
- 국민연금 고객센터 ☎ 1355 (유료번호 아님, 전국 어디서나 가능)
- 방문 상담: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 내방 가능
자주 묻는 질문
Q1. 한 번 신청하면 바꿀 수 없나요?
→ 조기수령 신청 후 6개월 이내라면 철회 가능합니다.
Q2. 조기수령했다가 나중에 일하면 어떻게 되나요?
→ 일정 기준 초과 소득이 생기면 일시정지 또는 일부 감액될 수 있습니다.
Q3. 감액되는 게 싫어요. 꼭 조기수령해야 하나요?
→ 아닙니다. 선택사항입니다.
정년퇴직 후 당장 수입이 없고, 생활비가 부족할 경우에만 권장됩니다.



마무리 – 지금이 ‘조기수령’ 결정할 때일까요?
조기수령은 지금 당장의 생활비에 도움이 되지만,
평생 받는 연금이 줄어든다는 점은 꼭 고려해야 합니다.
✔ 일할 계획이 없고
✔ 국민연금 10년 이상 납부했고
✔ 만 60세가 넘었다면
지금 국민연금공단에 상담 신청해보세요.
⭕️ 추천 글
2025년 장애인연금, 최대 43만 2,510원 수령 방법
“장애인연금이 뭐예요? 저도 받을 수 있을까요?”“수급 금액이 해마다 달라진다던데, 2025년은 얼마인가요?”이런 질문들, 중증장애가 있는 본인이나 가족이라면 한 번쯤 궁금하셨을 텐데요.
nn.ymiie.com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라면? 우대형 주택연금 알아보기
“일반형 vs 우대형 주택연금, 어떤 차이가 있을까?” “집 한 채가 노후의 연금이 될 수 있다면?”고령화 시대, 국민연금만으로는 부족한 노후 생활비를 보완하기 위해 주택연금을 선택하는 분
nn.ymiie.com
국민연금 일시금 수령 방법! 조건과 주의사항 총정리
"매달 받지 말고 한 번에 받을 수 있다고?" 국민연금 일시금 수령 방법 완전정리많은 분들이 국민연금 = 매달 받는 돈으로만 알고 계시지만,사실 일시금으로 한꺼번에 받는 방법도 존재합니다.
nn.ymiie.com
'정부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장애인연금, 최대 43만 2,510원 수령 방법 (0) | 2025.05.23 |
---|---|
프리랜서 세금, 똑똑하게 줄이는 실전 노하우! (0) | 2025.05.20 |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라면? 우대형 주택연금 알아보기 (1) | 2025.05.20 |
4년 중임제 vs 4년 연임제, 뭐가 다를까? 개헌 논의와 함께 정리! (2) | 2025.05.19 |
국민연금 일시금 수령 방법! 조건과 주의사항 총정리 (2)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