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 정책

퇴직금 계산방법, 정확하게 알고 받자!

by 정원23 2025. 7. 29.
반응형

퇴직금-계산기
퇴직금

 

직장을 그만둘 때 가장 궁금한 것이 바로 퇴직금입니다. “몇 년 일했으니 얼마쯤 받을까?” “월급만 보면 되는 거야?”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퇴직금 계산공식을 정확히 알지 못해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퇴직금 계산방법과 함께
정확한 평균임금 계산법, 근속연수 기준, 자주 묻는 질문까지 정리해드립니다.

 

 

퇴직금, 누구에게 지급되나요?

퇴직금은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한 근로자에게 법적으로 지급 의무가 있습니다.

  • 1년 이상 계속 근무
  • 1주 15시간 이상 근무
  •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일용직 모두 해당

즉, 1년 이상 근무했고 주 15시간 넘게 일했다면 누구든 퇴직금 대상입니다.

퇴직금 계산 공식

✔️ 퇴직금 계산 공식
1일 평균임금 × 30일 × (재직 연수)

📌 평균임금 계산법

퇴직 전 3개월간의 실제 지급된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 총 임금: 기본급 + 고정수당 + 연장·야근수당 + 상여금(일부)
  • 제외 항목: 실비성 복리후생비, 연차수당, 퇴직금 등
 
평균임금 = 퇴직 전 3개월 임금 총액 ÷ 해당기간 총 일수
 

📌  예시로 보는 퇴직금 계산

✔️ 월급 250만 원 받고, 3년 근속한 정규직 A씨

  1. 평균임금 = 2,500,000원 ÷ 30일 ≒ 83,333원
  2. 퇴직금 = 83,333원 × 30일 × 3년 = 7,500,000원

💡 주의: 월급이 일정치 않거나 수당이 많은 경우, 정확한 3개월간 급여 내역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퇴직일에 맞춰 연차수당도 합쳐서 받나요?
→ 아니요. 퇴직금과 연차수당은 별도로 지급되며, 퇴직금 계산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Q2. 육아휴직 기간도 퇴직금 산정에 포함되나요?
→ 원칙적으로 무급 기간은 제외됩니다. 단, 사용자가 해당 기간을 유급으로 처리했거나 계약상 인정했다면 포함될 수 있습니다.

 

Q3. 퇴직금은 언제까지 지급받아야 하나요?
→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 지급이 원칙입니다. 지연 시 연 20% 이자 발생 가능.

마무리

퇴직금은 단순히 월급만 곱해서 나오는 게 아닙니다.
정확한 평균임금, 실제 근속연수, 수당 포함 여부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손해 보지 않습니다.
특히 수당이 많은 업종일수록 평균임금 산정이 퇴직금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추천 글

 

연차 없는 회사 퇴직할 때 확인해야 할 3가지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우리 회사는 연차가 없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특히 5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근로기준법이 일부 적용되지 않아, 유급 연차가 없는 회사도 실제로 존재합니다. 하지

ymiie.com

 

 

퇴직연금 수령방법, 어떻게 받는 게 유리할까?

한 번 받는 게 좋을까, 나눠 받을까?“퇴직금, 퇴직하면 그냥 한 번에 받는 거 아닌가요?”“퇴직연금으로 전환되면서 방식이 복잡해졌다고 하던데요...” 퇴직을 앞두고 있거나 퇴직을 준비 중

nn.ymiie.com

 

 

연차휴가 계산법과 수당 계산기

직장인의 기본 권리 중 하나인 연차휴가. 하지만 매년 자동으로 주어진다고만 생각하기 쉽고, 수당으로 지급될 때의 정확한 계산 방식은 잘 알려져 있지 않죠.이번 글에서는 연차휴가 발생 조건

nn.ymiie.com

 

반응형